본문 바로가기
  • 살며, 사랑하며, 언제나 행복만 하자!
정보통신기술사

OTDR, GBAS - [22.04.12.]

by U-sarang-ing 2022. 4. 12.

OTDR(광섬유 시험기)

- 광섬유의 전송 손실, 거리 측정, 단선 위치 검출
- 융착 접속이나 기계적 융착접속, 커넥터 접속 등의 접속 손실
- 반사량(반사 감쇠량, 리턴 로스)을 평가
- 광펄스시험기 혹은 로케이터로도 불림
- 10m 이하의 광섬유 단선 위치 검출용 OTDR부터 200km를 초과하는 장거리 광섬유나 1만 km를 초과하는 해저 케이블
   의 측정・해석용 OTDR

- 후방산란을 이용하여 측정

ㅇ 데드존

  ㅇ 영어 뜻 자체로는, 
     - 불감지대/사각지대/음영지대/무응답구간 등으로 해석될 수 있음

  ㅇ 계측기에서는, 
     - 출력이 나오지 않는 입력값 범위를 말함

ㅇ 데드존 3가지 유형

 1) initial dead zone 
  - OTDR의 입사단 광커넥터에서 발생하는 반사광 및 그 반사광에서 발생하는 수신 파형이 꼬리를 남김으로써 측정
    불능하게 되는 입사 거리 범위
    . 입사단에서
OTDR 이 아무것도 검출/측정을 할 수 없는 구간
 2) event dead zone
  -
이벤트 시작지점부터 이벤트 피크지점에서 1.5 dB 내려온 지점까지의 거리
    . event dead zone은 작으면 작을수록 좋음 . 이것이 크면 인접한 Event를 잘 검출하지 못함
    . 즉, Event Dead Zone이 5m 이면
이벤트가 일어난 후 5m 이내의 또 다른 이벤 트가 발생하더라도 그 이벤트
      검출할 수 없음
 3) attenuation dead zone
   -
이벤트의 시작점부터 이벤트선형화된 OTDR 직선을 가상으로 이벤트 구간까지 그려서 그 가상의 직선과 실제
     OTDR 파형의 간격이 0.5dB되는 지점까지의 거리
    .
OTDR이 근접한 이벤트측정하지 못하는 거리로 작으면 작을수록 좋음 . 이것이 크면 인접한 Event를 잘 측정하지
     못함
    . 즉, Event Dead Zone이 8m 이면
이벤트가 일어난 후 8m 이내의 또 다른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그 이벤트에 대한
      측정할 수 없음

 

GBAS(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공항 인근과 같은 협역에서 세계 위성 항법 체계(GNSS)의 위치 오차를 보정한 정보를 지상국에서 직접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위치 보정 시스템.

GNSS 위성은 지상으로부터 아주 높은 고도에 위치하여 지역에 따라 시간차가 발생하고, 위성 신호가 전리층을 통과할 때 신호가 지연되어 오차가 발생된다. 그래서 이를 수신한 지상국은 시차와 신호 지연차를 정밀하게 보정하여 VHF로 사용자에게 바로 전송한다.

GBAS는 위성을 통하지 않기 때문에 협역 보정 시스템이며, 주로 공항에 접근, 착륙 이륙하는 항공기에 제공하여 정밀하고 안전한 공항 운용이 가능하게 한다. 지상국은 GPS 기준국 수신기와 안테나, 정보 처리 장치, VHF 데이터 방송 안테나로 구성된다. GBAS는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의 위성 보강 시스템의 국제 표준으로 지정되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