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개요:
FM 주파수에 디지털 정보를 실어 전송하는 기술로 카오디에서 문자방송, 교통정보, 주파수 스위칭을 구현하는데
사용함. 국내는 KBS라디오 채널에서 테스트용으로만 사용중
ㅇ 주요용어:
- CT(Clock time): 시간정보의미
- EON(Enhanced Other Networks): 다른 방송국의 RDS정보 수신하는 것을 의미
- PI(Programme Identification): 방송국정보(국가코드(1)+커버리지(1)+방송국번호(2)), 내부처리용
- PS(Programme Service): 각 방송국의 고유이름, 유저에게 노출되기 위해 사용
- PTY(Progrmme Type): 방송컨텐츠의 내용을 31가지로 분류하여 알려줌
- REG(Regional): 현재방송의 커버리지를 선택하여 선별 청취 가능하도록 함
- RT(Radio Text): 최고 64자의 Text정보
- TA, TP(Traffic Announcement, Traffic Program): 교통정보 수신 가능 방송국 여부, 방송중인지 여부 판단을 위한 정보
ㅇ RDS의 데이터 구성
- 총 26bit로 1 block이 이루어지며 4개의 block으로 구성
- vlan type처럼 2번째 블럭에 type이 지정됨(총 32개, 5bit)
- 각 block의 뒷부분에 있는 checkword(10bit)를 통해 깨지지 않은 데이터인지를 먼저 확임함(에러확인)
- 주요사용하는 서비스 type은 시간정보제공을 포함 7개 정도가 있슴
'정보통신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N(무선센서네트워크)와 라우팅 프로토콜 (0) | 2022.05.09 |
---|---|
정보통신공사 시방서 중 안전관리사항 (0) | 2022.05.09 |
GNS(국가정보통신서비스) (0) | 2022.05.09 |
GNS(국가정보통신서비스) (0) | 2022.05.04 |
스마트 폴(Smart Pole) (0) | 2022.05.04 |
댓글